태화산마곡사는 640년(신라 선덕여왕 9)에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온 자장(慈藏)율사가 통도사·월정사와 함께 창건한 절로
여러 차례 화재가 있었으나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 지눌(知訥)에 의해 중건되었다고 한다.
이곳의 물과 산의 형세는 태극형이라고 하여 '택리지' '정감록'등의 여러 비기(祕記)에서는
전란을 피할 수 있는 십승지지(十勝之地)의 하나로 꼽고 있다.
절의 이름에 대해서는 2가지 설이 있는데, 자장이 절을 완공한 후 설법했을 때 사람들이 '삼'[麻]과 같이 빽빽하게 모여들었다고 해서 마곡사라 했다는 설과
신라 무선(無禪)대사가 당나라 마곡보철(麻谷普澈)선사에게 배웠기 때문에 스승을 사모하는 마음에서 마곡이라 했다는 설이 있다.
창건 이후 이 절은 신라 말부터 고려 초까지 약 200년 동안 폐사가 된 채 도둑떼의 소굴로 이용되었던 것을
1172년(명종 2)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제자 수우(守愚)와 함께 왕명을 받고 중창하였다.
보조가 처음 절을 중창하려고 할 때 도둑들에게 물러갈 것을 명하였으나 도둑들은 오히려 국사를 해치려 하였다.
이에 보조가 공중으로 몸을 날려 신술(神術)로써 많은 호랑이를 만들어서 도둑에게 달려들게 하였더니
도둑들이 혼비백산하여 달아나거나 착한 사람이 되겠다고 맹세했다고 한다.
도둑들에게서 절을 되찾은 보조는 왕에게서 전답 200결을 하사받아 대가람을 이룩하였다.
당시의 건물은 지금의 배가 넘었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 불타버렸다.
그 뒤 60년 동안 폐사가 되었다가 1651년(효종 2)에 각순(覺淳)이 대웅전과 영산전·대적광전 등을 중수하였다.
마곡사의 정문인 해탈문으로 들어가면 부처님의 세계인 법계로 들어가며 '해탈을 하겠다'는 원력을 갖게 된다고 한다.
동서남북의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이 있는 천왕문
명부전(冥府殿)은 일제강점기 건축물로 지장보살과 염라대왕을 비롯한 시왕을 모신 곳이다.
지장보살은 불교에서 구원의 상징으로, 모든 인간을 교화시켜 성불하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맡은 보살이다.
시왕은 인간이 죽은 후에 지옥에서 죄가 크고 작음을 가리는 10명의 왕으로 염라대왕은 그 중의 다섯 번째 왕이다.
극락교를 건너면
범종각이 나오고
오층석탑과 대광보전(大光寶殿) 그리고, 대웅보전이 눈에 들어온다.
부처님을 중심으로 부처님의 제자인 16나한을 모시고있는 응진전
16나한은 중생에게 복을 주며 중생을 바른 법으로 인도하기를 원하는 성자를 말한다.
또한 이 절은 김구(金九)와 인연이 깊은 사찰이다. 한말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한 일본인 장교 쓰치다(土田壞亮)를 황해도 안악군 치하포 나루에서 죽인 후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하여 이 절에 숨어서 승려를 가장하며 살았다.
지금도 대광명전 앞에는 김구가 심은 향나무가 있는데, 그 옆에 ‘김구는 위명(僞名)이요 법명은 원종(圓宗)이다’라고 쓴 푯말이 꽂혀 있다.
대웅보전에서 내려다 본 대광보전
마곡사 뒤편의 높은 언덕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건물인 대웅보전은 1651년과 1842년 등 몇 차례의 중수 및 개수로 원래의 모습을 많이 잃어버렸다.
외관상으로는 2층 형태의 중층이지만 내부는 하나의 공간이다.
석가모니불 좌우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을 모시고 있다.
대웅보전에서 대광보전으로 내려와
열린 문틈으로 내부를 들여다 본다.
불단을 서쪽에 설치하고 그 위에 비로자나불상 1구를 동쪽을 향해 앉힌 배치방법이 부석사 무량수전과 유사한 점을 보여준다.
5층석탑 1782년 대광보전 화재 때 많이 파괴되었으나 현재 화강암으로 보수되어 있으며 1972년 탑을 해체·보수할 때 향로와 문고리가 발견되었다.
중국 원대의 라마식 보탑과 유사하여 원나라와 문화적으로 교섭이 빈번했던 고려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지혜의 길을 찾는 집인 심검당은 대광보전(大光寶殿)의 동남편에 위치하고 있는데,
언제 지어졌는지 명확히 알 수 없으나 1797년(정조 21)과 1856년(철종 7)에 각각 중수하고, 1909년에 기와를 보수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방은 ‘一’자형 평면이지만 심검당 동측에 위치하여 안마당을 막고 있어 심검당과 함께 보면 ‘口’자집 배치가 된다. 마치 규모가 큰 조선시대 양반집 같은 모습이다.
이 고방은 2층구조로, 아래층은 흙바닥이고 위층은 마루바닥으로 꾸며져 있다.
사괴석으로 기단을 만들고 초석은 자연석 덤벙주초이다. 아래층 기둥은 두리기둥을 세우고 상층은 네모기둥을 세웠다.
마곡사는 ‘춘마곡추갑사(春麻谷秋甲寺)’라는 말이 전해질 만큼 봄 경치가 뛰어나다.
'▒ 국내여행 > ┠ 충청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청벽대교 일몰 (0) | 2016.06.22 |
---|---|
[공주] 정안천 생태공원 (0) | 2016.06.22 |
[공주] 청벽대교 일몰 영상 (0) | 2016.06.21 |
[진천] 초평저수지 (0) | 2016.05.22 |
[진천] 만뢰산 자연생태공원 (0) | 2016.05.16 |